전체 글122 고려시대 정원 괴석을 이용한 석가산과 화려하고 이국적인 분위기가 특징 918-1392년의 약 500년간 한반도의 국가였던 고려시대의 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숭불 정책과 유교, 풍수지리, 중앙집권적 국가였습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편찬되었으며 중국 송과 문화교류로 목판인쇄술과 고려청자가 발달하였습니다.1. 궁궐정원고려시대의 정궁인 만월대는 풍수지리 사상과 주계고기공기의 좌묘우사 전조후시의 원리를 적용하였다고 합니다. 현재는 터만 남아 있습니다. ‘동지’는 만월대의 동쪽에 꾸며졌던 후원의 큰 연못이었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연못 주위에 학, 거위 등을 사육하고 귀령각이라는 누각이 물가에 있어서 경관을 감상하였다고 합니다. 왕과 신하의 위락공간을 위한 정원이라고 보입니다. 왜구들로부터 노획한 배를 띄워 임금이 보시도록 했다는 기록을 보면 규모가 꽤 컸.. 2024. 7. 14.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우리나라의 정원 역사1 우리나라는 땅이 깊고 강수량이 많아 식물이 무성하고 자연경관이 수려하기 때문에 특별히 조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으로부터 각종 문화와 생활풍습에 크게 받았기 때문에 조경문화 또한 영향을 받았습니다.고조선 시대에 대동사강(大東史鋼) 제1권 단씨조선기(檀氏朝鮮紀)에 노을왕이 유(囿)를 조성하여 짐승을 키웠다는 정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있습니다. 그 이후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와 한학이 들어온 4세기 이후부터 정원 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했습니다.고대로부터 가장 영향을 받은 것은 신선사상이고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배경으로 송나라의 성리학자인 주돈이(周敦頤)가 설파한 애련설(愛蓮說)이었습니다. 20세기에는 일본의 영향을 받은 정원문화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고대 정원은 중국.. 2024. 7. 14. 자연적 색채로 주변 공간을 조화롭고 소박한 멋의 일본 정원 (PART 2) 1. 선종의 정원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1185∼1333년) 시대에는 정토 정원과 선종 정원이 융성하였습니다. 중국 선종의 영향을 받은 무사계급이 성장하였는데 이 때문에 주택과 정원의 양식도 변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경사와 '이시타테소(직역하면 바위를 배치하는 수도사)'가 등장하였습니다. 선종의 창시자인 실정 시대 대표적인 조경가인 몽창국사는 서방사와 천룡사를 만들었습니다. 일본정원의 황금기는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1333∼1568)라고 전해집니다.'센즈이 카와라모노(산, 도랑, 강바닥을 만드는 사람들)'라고 불리던 숙련된 장인 집단들은 '카레산스이(고산수, 枯山水-돌과 모래로만 산수를 표현한 정원)'라고 하는 새로운 양식의 정원을 만들었습니다. 선종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이러한 정원들은 매우 추.. 2024. 7. 13. 상징과 조화로움으로 추상적 아름다움으로 자연경관을 축소시킨 일본 정원 (PART 1) 1. 일본정원일본 정원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사의주의 자연풍경식 정원이 발달했습니다. 자연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보다는 자연풍경을 이상화하는 축경법을 이용해서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기교와 관상적 가치에만 치중하여 세부적 수법이 발달한 것도 일본 조경의 특징입니다. 교목과 관목뿐 아니라 바위, 모래, 인공 언덕, 연못, 유수 등이 예술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기하학적으로 배치된 서양식의 정원과는 달리 일본 정원은 전통적으로 가능한 한 인공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자연에 가까운 경관을 조성하였습니다.이러한 경관 조성을 위해 정원 조경사들은 3가지의 기본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즉, 규모의 축소, 상징화, '경치의 차용(借景)' 입니다.① 산과 강의 자연적 경관을 축소하여 만들어 제한된 공간에 모두 재현.. 2024. 7. 13.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1 다음 반응형 LIST